스마트테크와 하이테크의 차이는 무엇인가?
-적정 수준화 : 복합 기술의 적절한 기준 설정. 즉, 지나치게 많은 기능이 아니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고 또 사용하기 원하는 그런 기능에 초점을 맞춘다.
-단순성에 대한 신봉 :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신세대 소프트웨어는 지나치게 복잡해진 프로그램에 대한 고객의 불만에 더욱더 귀를 기울여야 한다. 빌게이츠가 언급한 말이다.
-조용한 기술 : 끊임없이 띠리리, 삑삑 울려대는 짜증나는 기술이 아닌 조용한 기술. 새로운 사용자층은 성가신 청각 신호없이 사용자 간 대화를 하고 싶어 한다. 핸드폰 발달 과정에서 이러한 현상은 이미 잘 나타나 있다. 신제품은 디자인이 단순하고 벨소리를 울리는 대신 진동한다.
-견고성 지향 기술 : 스마트테크 발달의 한 가지는 튼튼한 기술이다. 충격에 강하고 여러 가지 인프라 구조를 요구하지 않는 기술이다.
-풀서비스 테크 : 의심이 많아진 소비자들은 점점 더 시스템의 전체 비용을 생각하게 된다. 여기에 시간 소모비용과 A/S가능성, 고장 가능성 및 사용법의 이해 등을 특히 고려한다. 이러한 모든 역할은 관광산업에서 즉각적인 부품 제공, 배달, 불필요한추가 상품 제거, 무상 수리 등으로 이미 활용되고 있다. 일상의 기계에서도 이러한 역할이 적용되어야 한다. 미래 시장에서는 하드웨어 자체가 아니라 진정한 기능만이 돈을 지불받게 된다.
-휴먼 디자인 : 스마트테크는 인공 제조물에 대한 새로운 미학을 동시에 의미한다. 겉모습에서부터 인간에 대한 친절한 배려를 잊지 않아야 하는 것이다. 윤곽은 더 이상 기술적인 면만 고려한 딱딱하고 차가운 모습이 아닌 곡선을 이루며, 물건 들은 미소를 띠고 있어서 강아지 인형을 연상시킨다.
"기술은 분명 우리 생활의 배경이다. 기술이 나에세 부담이 되어서는 안 된다."
-Mark Weiser, 제록스 팰러앨토 연구소 수석 기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